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존재하지 않던 직업들이 SNS를 중심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SNS로 만들어낸 새로운 직업들에 대해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같은 플랫폼이 단순한 소통의 도구를 넘어 커리어의 시작점이 된 셈입니다. 이제는 SNS를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팬을 만들고,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직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NS로 탄생한 새로운 직업들, 그들이 하는 일과 커리어로서의 가능성, 그리고 SNS 기반 커리어를 준비하는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SNS가 만든 새로운 직업들: 그들은 어떤 일을 할까?
① 인스타툰 작가
일상 속 소소한 이야기나 공감 가는 상황을 만화로 풀어내며 인기를 끌고 있는 작가들입니다.
디지털 드로잉 도구만 있다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으며, 팔로워가 늘면 출판, 굿즈 제작, 광고 제안까지 이어집니다.
대표 플랫폼: 인스타그램, 네이버 웹툰 인디판, 블로그
수익 구조: 광고 콘텐츠(브랜드 협업), 유료 콘텐츠, 굿즈 판매, 유튜브 확장 등
② 인플루언서 매니저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일정, 광고 협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등을 관리하는 직업입니다.
MCN(멀티채널네트워크) 소속이거나 개인으로 활동하기도 하며, ‘1인 크리에이터의 기획자’에 가까운 역할을 합니다.
콘텐츠 제작 경험이나 마케팅 감각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직업입니다.
필요 역량: 커뮤니케이션 능력, 협상력, 마케팅 지식, 트렌드 감각, 일정 관리 능력
③ 틱톡 광고 전략가
짧은 시간 안에 임팩트를 줘야 하는 틱톡의 특성상,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해시태그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들이 틱톡 전용 콘텐츠 제작자를 따로 고용하거나, 틱톡 마케팅 대행사와 협업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업무 내용: 바이럴 영상 기획, 숏폼 콘텐츠 제작 전략 수립, 인플루언서 섭외, 챌린지 운영 등
성장 가능성: MZ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가 많아짐에 따라 수요 급증 중
④ 숏폼 콘텐츠 디렉터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틱톡 등 짧은 영상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람입니다.
단순 편집 기술보다 ‘1초 안에 시선을 끄는 콘셉트’가 중요하며, 콘텐츠 기획력과 실험정신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⑤ 소셜 브랜딩 컨설턴트
개인이나 기업이 SNS를 통해 자신의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입니다.
글쓰기, 디자인, 해시태그 전략, 프로필 구성, 피드 컨셉 디자인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전략 수립이 핵심입니다.
수요 증가: 1인 브랜드, 프리랜서, 소상공인들이 SNS 브랜딩에 큰 관심을 가지면서 함께 성장 중
왜 SNS 기반 직업이 주목받는가?
① 낮은 진입 장벽, 높은 성장 가능성
대부분의 SNS 기반 직업은 전공이나 학벌보다 콘텐츠의 퀄리티와 일관성이 더 중요합니다.
스마트폰과 편집 앱만 있으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고, 팔로워와 피드백을 통해 실력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② 퍼스널 브랜딩의 시대
사람들은 이제 ‘브랜드’보다 ‘사람’을 신뢰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개성, 가치관, 일상까지 공유할 수 있는 SNS는 퍼스널 브랜딩의 핵심 수단이 되었습니다.
SNS 기반 직업은 개인의 특성과 관심사를 콘텐츠로 풀어낼 수 있어 지속 가능하고 의미 있는 커리어가 될 수 있습니다.
③ 빠른 피드백과 성취감
좋아요, 댓글, 공유 등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몰입도가 높습니다.
작은 반응 하나가 콘텐츠 제작의 동기가 되고, 그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④ 새로운 커리어의 발판
SNS 활동은 단지 온라인상의 놀이가 아닌, 실제 취업과 창업, 브랜드 협업으로 이어지는 커리어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SNS 포트폴리오가 곧 이력서가 되는 시대입니다.
SNS 기반 커리어를 준비하는 방법
① 작게 시작해보기: 콘텐츠 실험
처음부터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만들려고 하기보다, 작게 실험하며 반응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 매일 하나의 인스타툰, 주 1회 릴스 제작, 틱톡에 브이로그 올리기 등
② 나만의 콘셉트 정하기
‘누구나 하는 콘텐츠’는 눈에 띄기 어렵습니다. 내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주제를 정해 콘셉트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예: 일상툰 + 반려동물 / 자기계발 + 독서 / 브랜딩 + 심리학 등
③ 지속 가능한 루틴 만들기
SNS 기반 커리어는 장기전입니다. 따라서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루틴이 필요합니다.
예: 콘텐츠 캘린더 운영, 주 단위 기획 및 예약 발행 활용
④ 커뮤니티와의 연결
SNS 관련 커뮤니티, 슬랙 채널, 디스코드 그룹 등에 참여해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협업을 통해 더 큰 기회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⑤ 콘텐츠 기반 포트폴리오 만들기
인스타그램, 유튜브, 브런치, 노션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자신의 콘텐츠를 포트폴리오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직, 외주 제안, 협업 제안 등 모든 가능성은 여기서 시작됩니다.
SNS는 새로운 직업 생태계다
SNS는 더 이상 단순한 소통의 도구가 아닙니다. 그것은 이제 누구나 창작자가 되고, 브랜드가 되고,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입니다. 학력이나 전공, 경력이 중요한 시대는 지나가고, 이제는 ‘어떤 콘텐츠를 만들고, 어떻게 소통하는가’가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여전히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고민된다면, 우선 스마트폰을 꺼내 카메라를 켜보세요.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당신의 새로운 직업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